•
솔루션에 익숙해지면서 보호자가 꾸준히 설문을 작성하고 있음을 확인
•
보호자의 치료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
•
치료사 역시 리포트를 기반으로 한 대화 덕에 보호자와의 소통이 원활해져 추가적으로 얻은 정보를 통해 치료계획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
•
아동의 자극요인과 관련한 문항이 실제 치료지연행동 중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못함
•
4차 테스트 기간 중 진행 된 한차례의 현장 방문과 치료사 4인 및 보호자 3인의 인터뷰를 통해 치료사가 보호자로부터 전달받는 정보의 양이 늘어났음을 파악
•
이에 따라 치료사가 당일의 치료활동을 수정한 것 역시 사례를 통해 검증 가능
정O정 작업치료사
“수면을 잘 못 잤다거나 이런 밥을 잘 못 먹었다거나, 아니면 00이 같은 아동 같은 경우에는 구 수업을 같이 하는 친구인데 치과에 대한 이런 이슈가 있다거나 이런 경우에는 수업구조에서 구강 수업하는 거를 빼고 기능적인 거나 운동적인 거 아니면 각성 조절을 위한 활동을 조금 더 넣는다거나, 이러한 것을 수업하기 전에 미리 조금 준비하는 데 있어서는 도움이 많이 됐어요.”
•
치료사가 보호자로부터 전달받는 내용의 질과 양의 향상, 이에 따라 치료사가 당일의 치료활동을 수정하여, 발달장애아동의 회기 시간 중 치료지연행동의 발생 빈도 및 시간이 줄어듦을 확인
홍O후 감각통합치료사
“이 친구 같은 경우에는 월요일 날 올 때 가장 효과를 많이 보긴 했거든요.. 그래서 주말에 가족들을 만났거나 좀 자극을 많이 받아서 감각적으로 좀 올라와 있으면, 이완하는 활동을 했더니 진짜 문제 행동 하나도 없고 아이 표정도 너무 편안해지고 그렇게 활동을 마무리하기는 했었거든요. 우선은 지금 사용한 게 한 2주 정도 된 것 같은데 가장 크게 느꼈던 거는 그거인 것 같아요. 아이가 자극을 많이 받았다는 걸 인지했을 때 이완할 수 있는 활동을 해줬더니 아이가 좀 편안하고 문제 행동 없이 활동을 마무리했던 거”
•
테스트 시기가 방학 시기와 맞물리면서 아동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적인 요소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에 해당 행동이 감소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
•
기존의 6번 문항인 '자극 요인'에 대한 질문을 일부 보호자가 폭력이나 자해와 같은 공격적 행동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응답하지 않은 사례가 있음을 확인
•
솔루션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치료사가 해당 리포트를 어떻게 치료에 반영하는지, 보호자가 설문에 어떤 내용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기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