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차 테스트에서는 보호자가 설문에 응답하는 데 편리한지, 치료사가 치료 강도와 난이도를 조절하는 데에 리포트 내용을 실질적으로 반영하는지 파악
•
사후 설문을 통해 파악한 바, 전체 보호자 중 63%가 치료 시작 1시간 이내에 문항을 제출
•
설문 응답자 중 70%는 문항 작성이 편리하다고 응답
•
보호자의 사전 응답과 전달받은 리포트를 통해 아동의 컨디션을 빠르게 파악한 치료사는 실제 치료 강도나 접근 방식을 유연하게 조정 가능
“컨디션이 조금 안 좋다는 전달을 받은 친구들에게는 제가 처음부터 강도 조절을 좀 더 낮춰서 개입을 서서히 도와줄 수 있고요. 근데 ‘오늘 별일 없었다’ 하면은 평소대로 할 수 있는 거고요. 치료적 개입에 대한 강약 조절에 대한 것에 좀 도움이 됐고..”
(우0영 언어재활사)
일괄적인 제출시간13시의 한계 파악
•
오전에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리포트를 받을 수 없음.
•
치료 시간이 13시로부터 멀어질수록 리포트 제출 이후에 발생하는 변화를 전달받기 어렵다는 문제
치료사의 부담
•
치료사가 체계적으로 테스트 진행 구조 이해 어려움
•
치료사가 직접 보호자에게 솔루션의 필요성과 사용 방법을 설명하고 요청하는 과정에 부담이 존재
